(이 글은 상용직 근로자, 즉 월급에서 꼬박꼬박 세금 내면서 성실하게 일해왔던 분들을 위한 글입니다.)
한 직장에서 열심히 일했지만, 자발적으로 퇴사했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실업급여를 못 받는 건 억울하지 않나요?
저도 그랬습니다. 몇 년 동안 회사에 다니면서 보혐료도 꼬박꼬박 냈는데, 막상 퇴사하고 나니 실업급여 대상이 아니라는 거죠.
그런데 우연히 알게 된 방법 덕분에 7개월 동안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었습니다.
이렇게 실업급여가 나오게됩니다.
이 글은 불법적인 방법(유령회사 등록, 사장과 짜고 치기 등)이 아닙니다.
합법적인 절차를 통해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하는 글이니, 꼼수나 부정수급을 기대하신다면 지금 뒤로 가기 눌러주세요.
이 글의 순서
- 자발적 퇴사 이후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는 원리와 방법
- 실업급여를 가장 효율적으로 최대로 받는 방법
1) 자발적 퇴사 후 실업급여 받는 방법 (원리 이해하기)
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는 다양한 경우
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는 경우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.
하지만 오늘 다룰 방법은 ‘내가 내 발로 회사를 나갔을 때’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는 방법입니다.
핵심은 ‘계약직’으로 다시 일해야 한다!
자발적 퇴사 후 실업급여를 받으려면 한 가지 조건이 필요합니다.
"마지막 퇴사 사유를 ‘계약 만료’로 만들어야 한다"
즉, 계약직으로 일정 기간이라도 일을 해야 합니다.
그 기간이 한 달이든, 두 달이든, 6개월이든 상관없습니다.
실업급여 조건) ‘180일 이상 근무’
실업급여를 받으려면 마지막 퇴사일을 기준으로 ‘과거 1년 6개월 동안 180일 이상 근무’해야 합니다.
- 이 180일에는 자발적으로 퇴사한 직장도 포함됩니다.
- 새로운 계약직 근무 기간도 포함됩니다.
- 주휴수당 포함해서 180일 이상이면 됩니다.
주휴수당이란?
주휴수당이란, 주 5일 근무 시 하루치 급여를 추가로 지급하는 제도입니다.
즉, 주 5일만 일해도 6일을 근무한 것으로 인정됩니다.
주간 근무일 | 주휴수당 적용 후 인정 근무일 | 설명 |
---|---|---|
주 5일 근무 | 6일 근무로 인정 | 주휴수당 포함 |
주 4일 근무 | 주휴수당 없음 | 주 5일 이상 근무해야 지급 |
주 6일 근무 | 6일 근무로 인정 | 추가 주휴수당 없음 |
즉, 주 5일 근무만 해도 6일을 일한 것으로 계산되므로, 실업급여 계산 시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습니다.
실업급여를 최대로 뽑아먹는 방법 (가성비 극대화)
① ‘한 달짜리 계약직’이 가장 좋다
실업급여를 받기 위한 계약직은 한 달짜리 일자리를 추천합니다.
🙋 왜 한 달짜리가 좋을까?
✅ 평생 계약직으로 일할 게 아니기 때문에 최소한의 기간만 일하는 게 유리합니다.
✅ 구정(설날), 추석 시즌에는 유통업체에서 단기 일자리를 많이 뽑습니다.
✅ 한 달만 일하면 바로 실업급여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.
단기 계약직을 쉽게 구하는 시기
- 설날 전후(1~2월) → 유통업, 물류센터에서 단기직 대거 채용
- 추석 전후(8~9월) → 배송업, 매장 보조 인력 채용 증가
② ‘하루 8시간 일하는 직장’을 찾아라
실업급여는 월급이 많다고 더 많이 나오는 게 아닙니다.
그러나 하루 8시간을 채우면 실업급여 금액이 달라집니다.
8시간 vs. 7시간 근무자의 차이점
- 하루 8시간 일하면 실업급여 상한액 기준 적용 가능
- 하루 7시간 일하면 지급액이 줄어들 수 있음
정확한 실업급여 예상 금액 확인 방법
- 네이버에서 ‘실업급여 계산기’ 검색 (대략적인 금액 확인 가능)
- 고용노동부 공식 홈페이지에서 조회 (정확한 금액 확인 가능)
실업급여 계산방법(계산기 이용) - 2025년 최신 3가지 방법 총정리
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을까? 받을 수 있다면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?직접 계산하는 건 복잡하고 귀찮은데, 빠르게 예상 금액을 확인하는 방법이 있습니다. 이번 글에서는 실업급여 계산을 도와
wefdzf.tistory.com
실업급여 신청 시 주의할 점
- 실업급여 신청 후, ‘재취업 활동’을 해야 한다 → 온라인 교육, 취업 사이트 가입, 면접 참석 등
- 필수 서류 제출을 꼼꼼하게 해야 한다 → 고용보험 사이트에서 확인
- 부정수급하면 ‘환수+추가 징벌’이 따른다 → 허위 서류 제출, 거짓 재취업 활동 금지
정리) 이 방법을 활용하면 실업급여 받을 수 있다!
✅ 자발적 퇴사 후, 실업급여를 받으려면 ‘계약직’을 해야 한다.
☑️ 마지막 퇴사 사유가 ‘계약 만료’가 되어야 한다.
✅ 퇴사일 기준으로 ‘과거 1년 6개월 내 180일 이상 근무’하면 된다.
☑️ 한 달짜리 계약직 + 하루 8시간 근무를 추천한다.
(혹시 궁금한 점 있으면 댓글로 남겨주세요!)
'생활꿀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갤럭시 상단 알림바 순서 바꾸기 (0) | 2025.03.16 |
---|---|
강북문화정보도서관 모바일로 바코드 찾는 방법 (0) | 2025.03.16 |
아이폰 iOS 16 업데이트 방법 (10초컷) (0) | 2025.03.16 |
연락(전화) 받기 귀찮은 뇌과학적 이유 - MBTI 유형별 특징과 현명한 거절법 (0) | 2025.03.15 |
실업급여 계산방법(계산기 이용) - 2025년 최신 3가지 방법 총정리 (0) | 2025.03.15 |
아이폰 홈 화면에 추가 아이콘 설정법 - 원하는 웹페이지 바로 실행 (1) | 2025.03.15 |
알뜰폰 유심칩 결제가 안됐는데, 배송이 된 건가요? (0) | 2025.03.14 |
2025년 임대차 계약서 인터넷 발급 방법 - 발급 비용과 온라인 절차 총정리 (0) | 2025.03.14 |
댓글